[정책] [클릭K+] 알아야 받는다! 2025년 달라지는 복지정책
- 정부 정책
- 2025. 2. 2. 18:59
728x90
728x90
https://www.korea.kr/news/policyNewsView.do?newsId=148938261&utm_source=dable
2025년 복지정책 개요
- 2024년을 뒤로 하고 2025년이 시작되었다.
- 새해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만, 경제 상황은 어려운 상황이다.
- 복지 정책과 제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.
- 복지 혜택을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정보를 아는 것이 필수적이다.
기준 중위소득 인상
- 기준 중위소득이 올해 역대 최대 수준으로 인상되었다.
- 기준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한다.
- 2025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약 609만 원으로, 지난해 대비 약 37만 원 상승하였다.
-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약 239만 원으로, 7.34% 상승하였다.
생계급여 인상 및 기준 완화
- 기준 중위소득의 인상으로 인해 기초생활수급자의 생계급여가 인상되었다.
- 4인 가구 기준 생계급여는 183만 4천 원에서 195만 2천 원으로 약 12만 원 상승하였다.
- 부양의무자 기준이 완화되어, 기존의 연소득 1억 원 또는 일반재산 9억 원 초과에서 1억 3천만 원 또는 12억 원 초과로 상향되었다.
의료급여 및 교육 지원 확대
- 의료급여 부문에서 본인부담금 완화를 위한 건강생활유지비 지원이 확대되었다.
- 기존 지원금: 6천 원
- 새로운 지원금: 1만 2천 원으로 두 배 증가
- 저소득층 초중고교 학생을 위한 교육활동지원비도 증가하였다.
- 초등학생: 48만 7천 원
- 중학생: 67만 9천 원
- 고등학생: 76만 8천 원
- 전년 대비 약 5% 상승
저소득층 자립 지원 정책
- 저소득층의 자립 지원이 확대되었다.
- 근로를 통해 수급 대상에서 벗어날 경우, 최대 150만 원의 자활성공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.
- 근로활동 지속 기간에 따른 지원금:
- 6개월 지속 시: 50만 원
- 1년 지속 시: 100만 원
- 근로활동 지속 기간에 따른 지원금:
- 저소득층의 자산 형성을 위한 희망저축계좌 정부지원금이 월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인상되었다.
디딤씨앗통장 가입 대상 확대
- 저소득층 아동이 만 18세 이후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‘디딤씨앗통장’ 가입 대상이 확대되었다.
- 기존 가입 대상:
- 기초생활수급 가구 아동
- 시설 입소 아동
- 가정위탁 아동
- 올해부터는 한부모 등 차상위계층 아동도 가입할 수 있게 되었다.
새해 복지 혜택 점검
- 새해 시작과 동시에 많은 제도와 정책이 달라졌다.
- 개인과 관련된 변화된 복지 혜택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.
- 새해 계획을 세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.
728x90
728x90
'정부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책] 다양하게 변하는 2025년 대한민국 정책 (2) | 2025.01.31 |
---|---|
[정보] 숙박할인권 100만장, 근로자휴가지원 15만명…민생경제 회복 지원 (0) | 2025.01.12 |
[정보] 2025년부터 '5등급제' 체제,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 발표 (0) | 2024.12.20 |
[정보] 2025년부터 일상생활에서 사라지는 8가지! (0) | 2024.12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