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부터 새롭게 추가된 국가 기념일은?
- 라이프 정보
- 2024. 11. 21. 23:15
728x90
728x90
세종대왕 나신 날 지정
- 기념일 지정: 내년부터 5월 15일은 ‘세종대왕 나신 날’로 지정된다. 같은 달 27일은 ‘우주항공의 날’로 정해졌다.
- 국무회의 의결: 행정안전부는 ‘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’ 개정안이 2024년 11월 1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음을 밝혔다.
- 신규 기념일: 세종대왕 나신 날과 우주항공의 날은 신규 기념일로 지정되며, 이는 역사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함이다.
- 기념일의 역사적 배경: 세종대왕 나신 날은 1397년 5월 15일(양력) 세종대왕의 탄신일을 의미하며, 우주항공의 날은 2024년 5월 27일 우주항공청 개청일을 기준으로 한다.
기념일 개정안 의결
- 개정안 내용: 행정안전부는 ‘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’ 개정안이 의결되었으며, 이는 기념일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기 위한 조치이다.
- 신규 기념일의 의미: 세종대왕 나신 날과 우주항공의 날은 각각 역사적 인물과 현대 과학의 중요성을 기념하기 위해 설정되었다.
- 정부의 의도: 정부는 이러한 기념일을 통해 국민의 역사적 자긍심과 과학적 관심을 높이고자 한다.
- 기념일의 사회적 역할: 기념일은 국민의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고,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.
세종대왕의 업적과 의미
- 세종대왕의 업적: 세종대왕은 경제, 사회, 문화,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.
- 애민사상과 자주정신: 세종대왕의 ‘애민사상’, ‘자주정신’, ‘실용정신’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기념일의 주요 목적이다.
- 한글날과의 관계: 세종대왕 나신 날은 한글날과 함께 기념되며, 이는 한글 창제를 기념하는 의미를 가진다.
- 문화적 가치: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문화적 행사가 계획되고 있으며, 이는 국민의 문화적 자긍심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.
기념행사 계획
- 기념행사 개최: 문체부와 국가유산청은 세종대왕 나신 날에 다채로운 기념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.
- 세종문화상 시상: 한글주간에 시행하던 세종문화상을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행사에서 시상할 계획이다.
- 숭모제전: 숭모제전은 세종대왕의 탄신일을 맞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개최되는 행사이다.
- 문화축제의 날: 세종대왕 나신 날을 5월의 대표 문화축제의 날로 자리매김할 계획이 있다.
우주항공의 날의 의미
- 우주항공의 날 지정: 우주항공청은 5월 27일을 ‘우주항공의 날’로 지정하였다.
- 우주항공 5대 강국 목표: 이 날은 ‘우주항공 5대 강국’을 실현하고, 우주항공 경제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의미를 가진다.
- 우주항공청의 역할: 우주항공청은 민간이 우주항공 개발을 주도하는 ‘뉴 스페이스’ 시대에 맞춰 민관 협력을 촉진하는 기관으로 신설되었다.
- 산업 생태계 육성: 우주항공청은 국내 우주항공산업 생태계를 육성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.
민관 협력과 우주항공청
- 민관 협력 촉진: 우주항공청은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우주항공 개발을 촉진할 계획이다.
- 국민 의견 수렴: 기념일 지정을 위해 1만여 명이 참여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으며, 이는 국민적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한 노력이다.
- 우주항공 문화 저변 확대: 정부는 누리호 4차 발사 등을 계기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행사를 마련할 예정이다.
- 유관기관 협력: 우주과학관(나로우주센터) 등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우주항공 문화 저변 확대를 위해 노력할 것이다.
우주항공의 날 기념행사 계획
- 기념행사 기획: 내년 개최 예정인 제1회 우주항공의 날에는 과학기술문화 프로그램을 연계한 기념행사가 기획되고 있다.
- 국민 체감 행사: 정부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마련할 계획이다.
- 우주항공 문화 확산: 기념행사는 우주항공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.
- 과학기술문화 프로그램: 과학기술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우주항공의 날의 의미를 더욱 부각시킬 예정이다.
저작권 및 이용 안내
- 공공누리 출처표시: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.
- 저작권자의 허락: 사진, 이미지, 일러스트, 동영상 등의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을 전부 갖고 있지 않으므로,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.
- 출처 표기 의무: 기사 이용 시에는 반드시 출처를 표기해야 하며, 위반 시 저작권법에 따라 처벌될 수 있다.
- 저작물 이용 규정: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해야 하며, 이는 저작권법 제37조에 명시된 규정이다.
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,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및 제138조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. <자료출처=정책브리핑 www.korea.kr> [출처] 대한민국 정책브리핑(www.korea.kr)
728x90
728x90
'라이프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부정책] 12월부터 5인승 이상 모든 자동차 ‘소화기 설치 의무화’ (0) | 2024.11.23 |
---|---|
2025년부터 바뀌는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을 알아보자 (0) | 2024.11.22 |
연말정산 신용카드 VS 체크카드 환급 황금비율! (0) | 2024.11.21 |
[재택부업] 요즘은 재택부업으로 투잡이 대세! (0) | 2023.03.17 |
[경제] ChatGPT가 알려준 가계부를 썼을 때의 장단점을 알아보자 (0) | 2023.03.12 |